행복지수 1위 덴마크에서
행복사회로 가는 길을 찾다
1500 킬로미터를 달린 덴마크, 그리고
그 곳에서 만난 300여 명의 덴마크 사람들.
덴마크 현지에서 직접 보고 느낀
행복사회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들.
행복사회로 가는 6개의 키워드를 통해
대한민국의 행복한 미래를 만나는 시간.
**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 대한민국의 행복한 미래를 꿈꾸시는 분
- 덴마크 행복사회에 대해 궁금하신 분
- 행복한 사회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시는 분
** 강의 세부 내용 소개 **
1강 프롤로그는 시험도, 등수도 매기지 않는 덴마크의 교육 환경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30대의 젊은 교장 선생님, 사방이 유리로 뚫린 교무실 모습 등 눈으로 보고도 의심스러운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2강은 진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 에프터스콜레에 대해 알아봅니다. 입시에 몰두하는 우리의 현실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 덴마크 학생들의 모습, 확인해 볼까요?
3강 ‘생활고에 대한 걱정이 없다’에서는 덴마크의 안정적인 사회 제도를 소개합니다. 기회가 너무 많아 걱정이라는 대학생, 회사에서 빨래까지 해주는 기업문화 등에 대해 엿볼 수 있습니다.
4강에서는 동창회에 나가는 것이 전혀 두렵지 않다는 사람들을 통해 덴마크의 평등한 사회구조를 집중 탐구해 보겠습니다. 택시기사와 의사가 평등하게 대우받는 사회 속으로.
5강은 월급의 절반을 세금으로 내고도 아까워하지 않는 덴마크 사람들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뢰가 깊게 뿌리 내린 덴마크 사회의 모습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6강 ‘의지할 수 있는 동네친구가 있다’는 덴마크의 이웃과 환경에 대해 소개합니다. 경제적 자산을 공유하는 마을, 자전거 도로에도 신호등이 있는 덴마크 사회의 특별한 관계망에 대해 집중 조명해 봅니다.
7강에서는 덴마크를 행복사회로 만든 3가지 씨앗에 대해 알아봅니다. 깨어있는 농민, 노동자 그리고 시민이 일궈낸 행복지수 1위의 비밀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8강 에필로그는 덴마크 행복사회를 지향하는 우리의 노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 운동의 모델이 덴마크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행복사회를 위해 ‘지금, 여기’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