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상
1. 통합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고 싶은 임직원
2. 창의적 사고를 통해 혁신적 성과를 내고 싶은 임직원
3. 디자인씽킹 프로세스가 궁금한 모든 임직원
4. 전업종의 신상품/신사업 기획 관련 담당자
학습목표
1. 새로운 해결책을 찾기 위해 서로 상충되는 아이디어와 조건을 모두 이용하는 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다.
2. 이익 추구의 기업중심 제품과 서비스가 아닌 공감을 통해 사람중심의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3, 통찰을 통해 창의적이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원 | 강의명 | 시간 |
---|---|---|
1강 | 왜 디자인씽킹인가? | 9분 |
2강 | [공감] 경험을 통해 공감하기 | 7분 |
3강 | [공감] 관찰을 통해 공감하기 | 11분 |
4강 | [공감] 인터뷰를 통해 공감하기 | 8분 |
5강 | [정의] 문제를 올바르게 정의하는 방법 | 8분 |
6강 | [정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 | 10분 |
7강 | [정의] 고객 여정 지도를 통한 문제 정의 방법 | 10분 |
8강 | [구상] 디자이너들의 사고법 | 6분 |
9강 | [구상] 창의적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브레인스토밍 | 7분 |
10강 | [구상] 비범한 아이디어로 발전시키는 브레인라이팅 | 7분 |
11강 | [구상] 변형과 결합으로 아이디어 만드는 스캠퍼 | 5분 |
12강 | [시제품]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 | 8분 |
13강 | [시제품]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방법 | 8분 |
14강 | [테스트] 프로토타입을 검증하는 방법 | 8분 |
15강 | [테스트] 사용성 테스트의 필요성 | 9분 |
16강 | [테스트] 사업성을 검토하는 방법 | 9분 |
17강 | [테스트] 실패에서 배우는 방법 | 9분 |
18강 | [테스트] 결과물을 발표하는 방법 | 7분 |
19강 | [사례] 국내 디자인씽킹 살펴보기 | 7분 |
20강 | [사례] 해외 디자인씽킹 살펴보기 | 10분 |
이정훈
산업환경과 거시환경을 분석하여 조직원 모두가 경영의 목표를 이해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경영 전략 전문가. 회사의 역량을 증진할 때 필요한 전략을 강의한다.
URL이 복사되었습니다.